지난 6월 29일, 이재정(72) 경기도교육감이 내년부터 관내 고교의 야간자율학습(이하 ‘야자’)을 폐지하겠다고 선언했다. 이 교육감의 ‘야자 폐지’ 발언이 알려지면서, 교육계 안팎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6월 30일 ‘이 교육감의 야자 일률 폐지 방침에 대한 입장’을 통해 “학생, 학부모, 교원은 물론 교육계 안팎의 논란을 가져올 교육 정책은 교육구성원들의 의견 수렴과 이에 따른 세부 대책 마련이 된 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6월 30일자 조선 에듀의 보도에 따르면, 고교 현장에선 학교 재량권을 또다시 침해한다는 지적도 나온다고 한다. 조선 에듀 보도에 의하면, 경기도 A고교의 3학년 담임교사는 “야자 시행 여부는 학교가 결정할 일인데, 교육감이 나서서 ‘야자 전면 폐지’를 추진하는 건 지나친 영향력 행사”라고 했으며, 경기도 B고교의 한 교사는 “인사권·재정권·감사권 등 막강한 권한을 가진 교육감이 압박하면, 학교는 ‘울며 겨자 먹기’로 따를 수밖에 없다”며 “충분한 의견 수렴 과정 없이 ‘힘의 논리’에 의해 졸속으로 교육 제도나 정책이 결정되는 현실이 씁쓸하다”고 했다고 보도했다.
학부모와 학생들의 불만도 적지 않다고한다. 조선 에듀에 따르면, 고2 학부모 정희선(가명·경기도 성남시)씨는 “사춘기 학생들은 아무래도 학교의 통제가 필요한데 그 울타리가 사라진다면, 학부모 입장에선 학원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그렇게 되면 당연히 사교육비 부담이 늘어난다. 야자 폐지는 결국 공교육이 앞장서서 사교육을 부추기는 꼴 아닌가”라고 했다고 보도 했다. 또한 고2 자녀를 둔 학부모 김수경(가명·경기도 광주시)씨는 “현재 학원비를 마련하는 것도 빠듯한 상황인데, 야자 폐지 후엔 어떻게 해야 할지 걱정만 앞선다”며 “야자가 필요한 학생들에게는 이를 제공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했다고도 보도 했다. 경기도의 C고교 2학년생 송지원(가명·17)양은 “현재 성적으로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을지 없을지도 모르는 상황인데, 한창 야자할 시간에 대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수능 공부 대신 예비대학 교육과정을 한다는 것은 현실과는 전혀 맞지 않는 얘기”라고 했다고도 보도 하였다.
이로 인한 새로운 갈등이 경기도 교육계에 퍼질 조짐이 보이는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