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아이를 새롭게 바라보는 교육 – 발도르프 유아교육 <1회>
연재 원본 : “아이를 새롭게 바라보는 교육 – 발도르프 유아교육”
<마리 루이제 콤파니, 페터 랑 엮음, 이정희 외 옮김> |
- [세계 속의 발도르프 유치원] – 페터 랑 –
발도르프 학교 설립
제 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갑자기 1919년 9월 슈투트가르트에 척 번째 발도르프 학교가 설립된 것이 아니다. 이 학교는 발도르프 아스토리아 담배공장의 설립자이며 소유자인 에밀 몰트Emil Molt, 1876~1936의 제안으로 탄생했다. 그는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 1861~1925에게 자신의 담재공장에서 일하는 직원들의 자녀를 위한 학교를 세우는 데 함께하자고 요청했다. 그러나 발도르프 학교는 처음부터 노동자의 자녀뿐만 아리라 모든 사회계층의 자녀에게 열려 있었다.
발도르프 학교의 설립은 학교 자체만 따로 떼어 바라보아서는 안 된다. 이 학교는 슈타이너가 당시의 사회. 정치적 경향, 사회생활의 새로운 편성에 대해 갖고 있던 견해와 전망 속에서 세워졌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중간 세력들’이 패배한 이후, 그리고 독일에서 그때까지 지켜온 국가 질서가 무너진 이후 국가의 새로운 형태에 대한 새로운 정치적 자극과 제안들이 긴급하게 필요했다. 슈타이너가 주장한 ‘사회구성체의 삼원론’은 문화.법질서.경제라는 세 가지 사회적 영역에서의 독립적인 자치행정을 제시한다. 국가는 본래 민주적으로 구성되고 법 생활을 제한해야 하지만, 경제와 문화는 고유의 독립적 기관들을 통해 자치적으로 다스려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포괄적인 배경에서 발도르프 학교의 탄생을 바라보아야한다. 학교는 문화생활의 근본 요소로서 독립적이어야 하며 국가가 제시하는 규정에서 자유로워야 한다는 것이다. 발도르프 교육학의 기본적인 특성이 어떻게 1919년 슈타이너에 의해 마련되고 이후 90년 이상의 세월 속에서 보전되고 계속 발전되었는지는 다른 기회에 서술할 것이다. 발도르프 교육은 머리, 가슴과 손에 의한 포괄적 교육을 지향한다. 즉, 사고하는 지적 능력, 예술적 능력, 그리고 수공예적인 실제 능력을 고르게 발달시키고 촉진하는 것을 중시한다. 학생들은 만 7세부터 18세까지 12년 동안 일관된 ‘수업공동체’를 형셩한다. 성적 평가와 유급제도는 없다. 교육의 내용은 아동의 내적 발달과 연령에 따른 욕구에 방향을 ㅂ맟춘다. 즉, 발도르프 학교는 국가의 규정이나 경제적 관심에 따른 요구들을 따르지 않는다.<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