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 입학 연루된 외국인학교, 앞으로 최대 10년간 내국인 모집 금지

‘외국인학교 및 외국인유치원 설립·운영에 관한 규정’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김영곤 교육부 국제협력관, “이번 개정은 외국인학교 운영의 자율성을 확대하면서, 부정입학과 같은 법령 위반행위에는 단호하게 대처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교육부는 지난7월19일 이내용을 발표하며 부정 입학 사건이 적발된 외국인학교는 최대 10년간 내국인 학생을 모집할 수 없게 된다고 밝혔다.
그동안 부정 입학에 따른 외국인학교 행정처분 기준이 없어서 해당 학생·학부모만 처벌 조치를 받았었기 때문에 외국인학교만 처벌할 수 없는 ‘처벌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었다.

개정안에 의하면, 외국인 학교들은 앞으로 부정 입학 위반 횟수에 따라 행정처분을 받는다. 처음 적발되면 시정 명령, 2회 적발부터는 일정 기간 모집을 금지하게 되며, 2회 적발 시 6개월~1년, 3회 적발 시 13개월~2년, 4회 이상 적발 시 10년간 내국인을 뽑을 수 없게된다.

한 편, 귀화자 입학 기준은 완화됐다. 귀화자의 자녀가 한국어 능력이 부족해 수업을 따라가지 못하거나 국내 학교에 잘 적응하지 못하면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외국인학교에 입학할 수 있도록 했다.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Previous Post

[신간도서] 번아웃키즈: 웃지 않는 아이들

Next Post

맞춤형 보육 한달…부모, 어린이집 양쪽 모두 적응 안돼 전전긍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