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학습자, 인터넷강의보다 책·판서 선호 – 평생교육 학습매체·방법 선호도, 조선에듀보도

이재 조선에듀 기자

2019.07.24 14:20

해당기사 크게보기 해당기사 작게보기 이메일발송 해당기사 프린트
페이스북 트위터

조선에듀는 연재하고 있는 [통계로 본 평생교육] 시리즈  마지막 8회에서 평생교육 학습매체·방법 선호도에 관한 취재결과, 성인 학습자는 인터넷 강의보다는 책과 판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조선에듀는, 가상현실(VR) 등 다양한 형태의 평생교육 학습매체가 등장했지만, 국내 성인학습자는 여전히 책이나 판서 등 전통적인 수업방식을 선호했다고 하며, 한국교육개발원의 지난해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실태 조사로는 응답자의 44.7%가 책·판서 중심의 학습을 선호했으며, 인터넷강의나 전자책·태블릿PC·스마트폰 등 컴퓨터를 통한 학습을 선호하는 비율은 다소 낮은 34.1%라고 보도했다.
보도 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과 중장년층의 선호도 격차가 뚜렷하다. 25세~34세 성인학습자는 인터넷강의·컴퓨터 학습에 대한 선호도가 64.2%로 가장 높았다. 반면 책·판서 중심 학습 선호도는 50.2%로 나타났다.이는  두 가지 유형에 대한 선호도를 1점~5점으로 조사하고 나서 4점·5점으로 응답한 비율을 산출한 결과다.
이와 달리 45세~54세 장년층은 인터넷강의·컴퓨터 학습 선호도가 32%로, 25세~34세 성인학습자의 절반 수준이다. 책·판서 중심 학습 선호도는 47.2%로 소폭 하락했다. 이런 양상은 55세~65세 성인학습자도 마찬가지다. 책·판서 중심 학습 선호도는 43.3%로 소폭 하락한 가운데 인터넷강의· 컴퓨터 학습 선호도는 16%로 다시 반 토막 났다.
학습매체에 따른 선호도 차이는 학력별로도 두드러졌다. 중졸 이하 성인학습자의 책·판서 중심 학습과 인터넷강의·컴퓨터 학습 선호도는 각각 27.9%와 7.5%다. 20.4%p 차이를 보였다. 고졸 성인학습자의 경우 책·판서 중심 학습 선호도는 43.7%로, 인터넷강의·컴퓨터 학습 선호도는 24.5%로 격차는 19.2%다. 중졸 이하 성인학습자의 학습매체별 선호도 격차와 유사하다.
하지만 대졸 이상 성인학습자는 매체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책·판서 중심 학습 선호도는 52.5%, 인터넷강의·컴퓨터 학습 선호도는 53.5%로, 격차는 1%p에 불과했다.
인터넷강의·컴퓨터 학습보다 책·판서 중심 학습을 선호하는 양상은 성별이나 경제활동상태, 월가구소득, 지역에 따른 분석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다만 월가구소득에 따른 선호도를 보면 소득이 커질수록 인터넷강의·컴퓨터 학습에 대한 선호도도 증가하는 게 눈에 띈다. 월가구소득 150만원 미만 성인학습자의 인터넷강의·컴퓨터 학습 선호도는 8.2%에 불과하지만 150만원~300만원 미만 성인학습자의 선호도는 21.5%로, 300만원~500만원 미만 성인학습자의 선호도는 35.5%로 꾸준히 증가했다. 500만원 이상 성인학습자의 인터넷강의·컴퓨터 학습 선호도는 40.4%로 나타났다. 소득이 낮을수록 인터넷강의·컴퓨터 학습을 할 수 있는 디지털기기 보유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지난해 조사에 따르면 혼자서 학습하는 것을 선호하는 성인학습자 비율은 나이가 들수록 줄어들었다. 25세~34세 성인학습자의 개인학습 선호도는 51%로 나타났지만, 35세~44세 성인학습자의 선호도는 42%로 9%p 감소했다. 45세~54세의 개인학습 선호도는 35.3%로, 55세~66세의 개인학습 선호도는 26.1%로 감소했다. 특히 55세~64세 성인학습자의 경우 집단학습 선호도(27.6%)가 개인학습 선호도보다 처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65세 이상 성인학습자의 경우 개인학습 선호도는 17.2%로, 집단학습 선호도는 25%로 차이가 뚜렷했다.
학력별로도 차이가 드러났다. 중졸 이하 성인학습자는 개인학습(15%)보다 집단학습(22.4%)을 선호했다. 고졸의 경우 개인학습 선호도 28.8%, 집단학습 선호도 30.1%로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대졸 이상 학습자의 선호도를 보면, 개인학습(48.2%) 선호도가 집단학습(34.3%) 선호도보다 높았다.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Previous Post

[기획특집] 아이를 새롭게 바라보는 교육 - 발도르프 유아교육(제29회)

Next Post

초등 교사의 바람은 학생 ‘예의’ 학부모 ‘신뢰’ - ,아이스크림 미디어조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