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미취학 아동들이 평균 4.7세부터 3.2개 과목에 대한 사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이 지난 8일(화)부터 13일(일)까지 미취학,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5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학부모의 74.3%는 취학 전 자녀에게 사교육을 시킨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사교육을 시작한 나이는 평균 4.7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취학 전 받은 사교육 과목(복수응답)을 묻자 ‘국어∙한글(62.4%)’을 꼽은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영어(52.4%) △미술(50.8%) △수학∙숫자(41.0%) △블록∙가베 등 창의력놀이(31.2%) △음악(30.4%) △수영∙태권도∙발레 등 체육(29.6%) △한자(16.4%) △독서(9.8%) △사회∙과학(1.6%) 순으로 응답했다. 미취학 아동들은 평균 3.2개 과목의 사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학 전 참여해 본 사교육의 종류(복수응답)로는 ‘학습지’(78.0%)’가 가장 많았다. 이어 △학원(56.6%) △개인과외(21.7%) △그룹과외(9.8%) △온라인 강의(6.1%) 순이었으며 미취학 아동들이 받는 사교육 시간은 하루 평균 1시간 16분인 것으로 집계됐다.
취학 전 자녀의 사교육에 월 평균 25만 8천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집계됐으며 비용을 가장 많이 들이는 과목은 ‘영어(39.4%)’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경험이 있는 부모의 82.0%는 자녀의 사교육비 지출이 부담된다고 응답했는데, 지출 비용이 부담되지만 계속해서 사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자녀가 뒤쳐질까봐 불안해서(54.2%)’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학습 습관을 길러 주기 위해서(37.4%) △장기적으로 고려했을 때 학습 효과가 있을 것 같아서(36.1%) △주변 학부모들이 대부분 사교육을 시키고 있어서(23.9%) △공교육만으로는 충분치가 않아서(19.7%) △남는 시간을 허투루 보내고 싶지 않아서(18.1%) △자녀가 사교육 받기를 원해서’(13.9%) 순이었다.
자녀가 취학하기 전 사교육을 시킨 경험이 없는 학부모는 25.7%로, 사교육을 시키지 않은 이유(복수응답)로는 ‘공교육만으로도 그 나이에 필요한 것들을 충분히 배울 수 있어서(43.5%)’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엄마표 교육으로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수준이라서(38.2%) △너무 어릴 적부터 시작했다가 오히려 공부에 대한 거부반응이 생길까봐(32.8%) △사교육비 부담 때문에(28.2%) △아이가 사교육 받는 것을 싫어해서(4.6%) 순이었다.
한편, 공교육 과정에서 한글∙수학 수업을 강화한다면, 자녀가 취학하기 전 해당 과목의 사교육을 시키지 않을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 묻자 65.6%는 ‘그렇다’고 응답했다. 반면 34.4%의 학부모는 ‘아니다’라고 대답했는데, 그 이유(복수응답)로는 ‘한글과 수학은 기본이기 때문에’(60.0%)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 △다른 아이들은 미리 선행학습을 하고 올 것 같아서(43.8%) △취학 전 학습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34.6%) △입학 전 좀 더 심화된 내용을 학습하게 하기 위해서(16.2%) △학교에서 우리 아이가 남들에 비해 뛰어났으면 해서(6.2%) △아이가 한글∙수학을 학습하기 원해서’(4.6%) 순으로 답했다.
▶에듀동아 이경은 인턴기자 edudonga1@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