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도덕적 가치능력]
성인과 마찬가지로 유아들도 자기 삶의 형성을 위해 내면적-정신적 방향설정, 가치관과 내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과제들을 필요로 합니다. 유아들은 규칙, 의식행위, 명료함과 진실성을 필요로 합니다. 아이들은 성인들이 도덕적인 것을 훈계하지 않으면서 큰 방향을 보여주기를 원합니다. 또한 어른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정작 오늘날 많은 유아들이 주변에서 마주 대하는 것은 책임감 없이 흥미위주로 여가를 즐기기만 하는 사회적 분위기입니다.
발도르프 교육학의 구상안은 도덕적-윤리적 교육을 매우 의식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발도르프 교육학은 유아에게 진선미를 위한 체계가 필요하다고 여기고 마찬가지로 타인을 존중하고 타 문화와 창조를 존중하는 데 동의합니다. 또한 유아들이 개인적인 참여와 연대를 마땅히 배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방법론적 제시 :
방향을 제시해 주는 옛 이야기, 행사 준비하기와 축제, 자연을 사랑스럽게 대하기, 분명하지 않은 교육은 피하기, 이웃사랑 실천하기, 고마움의 표시(식사 전에 기도하기), 기꺼이 남을 돕기, 부모가 어떤 단체나 사회 또는 현장에 직접 참여하기, 다양한 문화의 특별함을 존중하기, 타민족의 풍습을 알도록 외국 노래나 동화 들려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