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팡이 감자가 유기농 둔갑… 아이들 식판에 올랐다
유통기한 156일 지난 쇠고기도
유기농 감자로 둔갑한 ‘곰팡이 감자’와 유통기한이 한참 지난 소고기가 전국 초·중·고교에 납품되는 등 급식용 식재료 관리가 엉망인 것으로 드러났다.
대형 식재료 업체들이 각급 학교 영양사·교사들에게 상품권을 뿌려 입막음을 한 다음 업체끼리 입찰 담합 등을 하는 바람에 빚어진 결과다. 국무조정실 부패척결추진단이 이끄는 정부 합동점검단은 지난 4월부터 학교급식 식재료의 생산·가공·유통을 비롯한 학교 급식관리 전(全) 과정을 종합점검한 결과 비리와 법령 위반 사례 677건을 적발했다고 23일 밝혔다.
경기도 하남의 A농산은 곰팡이가 잔뜩 핀 감자를 비위생적인 지하수로 씻어 껍질을 벗긴 뒤 친환경 감자와 섞어 유기농 감자인 것처럼 속여 수도권 50여 개 초·중·고교에 공급하다 적발됐다. 불량 감자의 총 무게는 3200㎏, 가격은 836만원어치였다.
B축산은 유통기한이 31일이나 지난 냉장 한우 28.8㎏, 유통기한 156일이 지난 냉동 한우 꼬리 86.3㎏을 판매 목적으로 보관하다 걸렸다. C푸드는 유통기한이 지난 냉장 돼지고기의 제조일을 조작해 충북지역 학교들에 공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냉동육을 냉장육으로 둔갑시켜 2년간 서울 지역 156개교에 49억원어치를 납품한 D축협도 덜미를 잡혔다.
E유통 등 13개 업체는 여러 곳에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페이퍼 컴퍼니를 세우거나 계모임(조합)을 결성해 입찰담합을 했고, 낙찰 후에는 서로 명의를 주고받는 방법으로 서울 71개교에 600억원의 식재료를 대리 납품한 사실도 드러났다.
합동점검단은 또 학교급식 가공품 시장의 60%를 점유한 동원·대상·CJ프레시웨이·풀무원 등 4개 대형업체가 최근 2년 6개월 동안 전국 3000여 개 학교 영양사·교사에게 16억원 상당의 상품권·영화관람권 등을 제공한 의혹을 확인했다. 따라서 총체적 급식 비리가 일선 학교와 업체 간의 유착 속에 벌어졌다는 의혹을 피하기 어려워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