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Follow Us
Follow Us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전문대 입학지원자 감소 우려 – 올해 대학 입학자원 9만여명 부족

-‘전문대교협 임시총회’서 입시분석 결과 보고
-“각 학교, 전문대학 특성 맞는 전형 개발 필요”

올해 대학입시에서 일반대학과  원격대학·폴리텍대학 등 기타대학 모집인원을 고려할 경우, 부족자원은 9만1000여명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방소재 중하위권 일반대학의 입학성적이 하락하면서 일반대학으로 입학자원이 쏠리는 ‘도미노 현상’이 전문대학에 큰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22일 오후 2시 대전 유성호텔에서 열린 ‘2020년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전문대교협) 임시총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전문대학 입시분석 결과’가 보고됐다. 이날 발표된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21학년도 대다수 지역의 전문대학의 모집인원 대비 입학자원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2021학년도 입학자원은 약 48만3000여명으로, 전년 대비 12.1% 감소할 전망이다. 그러나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모집인원은 약 52만7000여명으로, 입학자원보다 4만4000여명 더 많다.

2020학년도 전문대학 모집인원(정원내·외)은 전년 대비 2761명 감소했지만, 지원인원은 같은 기간 16만9000여명이 줄었다. ▲고3 재학생 5만4087명 감소 ▲기타대학 4만7346명 모집 ▲일반대학 선호현상 등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각 대학은 자체적으로 전문대학 특성에 맞는 전형 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 일례로,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수험생의 전문대학 지원 기피요인으로 작용하는 점을 감안해 각 대학이 자체적으로 이를 적정 수준으로 조정하거나 폐지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수능위주전형에서 수능 반영 영역수를 3개 이내로 축소하고, 정시모집에서도 수험생의 인성이나 학업 의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비교과·면접전형을 확대 운영하는 방안 등이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문대학 총장 90명이 참석한 이번 임시총회에서는 입시분석 결과를 비롯해 ▲마이스터대학 도입 ▲고등직업교육평가인증원 독립성 제고 방안 ▲사무총장 책무성 강화 방안 ▲2020 회계연도 제1차 추가경정예산(안) 등이 보고됐다.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Previous Post

유아교육 혁신을 위한 온라인 ‘혁신유치원 아카데미’ - 경기도교육청

Next Post

경기도육청, 8월부터 감사 거부· 결과 조치 미이행 사립유치원 재정 지원 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