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교협 임시총회’서 입시분석 결과 보고
-“각 학교, 전문대학 특성 맞는 전형 개발 필요”
- 올해 대학입시에서 일반대학과 원격대학·폴리텍대학 등 기타대학 모집인원을 고려할 경우, 부족자원은 9만1000여명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방소재 중하위권 일반대학의 입학성적이 하락하면서 일반대학으로 입학자원이 쏠리는 ‘도미노 현상’이 전문대학에 큰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22일 오후 2시 대전 유성호텔에서 열린 ‘2020년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전문대교협) 임시총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전문대학 입시분석 결과’가 보고됐다. 이날 발표된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21학년도 대다수 지역의 전문대학의 모집인원 대비 입학자원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2021학년도 입학자원은 약 48만3000여명으로, 전년 대비 12.1% 감소할 전망이다. 그러나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모집인원은 약 52만7000여명으로, 입학자원보다 4만4000여명 더 많다.
2020학년도 전문대학 모집인원(정원내·외)은 전년 대비 2761명 감소했지만, 지원인원은 같은 기간 16만9000여명이 줄었다. ▲고3 재학생 5만4087명 감소 ▲기타대학 4만7346명 모집 ▲일반대학 선호현상 등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각 대학은 자체적으로 전문대학 특성에 맞는 전형 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 일례로,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수험생의 전문대학 지원 기피요인으로 작용하는 점을 감안해 각 대학이 자체적으로 이를 적정 수준으로 조정하거나 폐지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수능위주전형에서 수능 반영 영역수를 3개 이내로 축소하고, 정시모집에서도 수험생의 인성이나 학업 의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비교과·면접전형을 확대 운영하는 방안 등이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문대학 총장 90명이 참석한 이번 임시총회에서는 입시분석 결과를 비롯해 ▲마이스터대학 도입 ▲고등직업교육평가인증원 독립성 제고 방안 ▲사무총장 책무성 강화 방안 ▲2020 회계연도 제1차 추가경정예산(안) 등이 보고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