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Follow Us
Follow Us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정부, 7일 국무회의서 스쿨존 교통안전 강화대책 발표 – 스쿨존 제한속도 20㎞/h까지 하향

-2022년까지 모든 스쿨존 무인교통단속장비·신호등 설치

-통학버스 신고의무 대상도 현행 6종서 18종 대폭 확대

정부가 2022년까지 전국 모든 어린이 보호구역(스쿨존)에 무인교통단속장비와 신호등을 설치한다. 우선 올해 교통사고 우려가 큰 지역에 무인교통단속장비 1500대와 신호등 2200대를 설치할 예정이다. 안전한 어린이 통학로 조성이 어려운 곳에 한해 제한속도를 20㎞/h로 낮추는 도로교통법 개정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7일 대통령 주재로 올해 첫 국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관계부처 합동 스쿨존 교통안전 강화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민식이법 통과 등 스쿨존 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늘어난 것을 반영한 것으로, 국무조정실과 교육부, 보건복지부, 국토교통부, 문화체육관광부, 경찰청 등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추진한다.
현재 전국 스쿨존 1만6789곳 가운데 588곳(3.5%)의 제한속도는 40㎞/h다. 정부는 이곳의 제한속도를 일괄적으로 30㎞/h로 낮출 계획이다. 또 도로 폭이 좁은 이면도로 등 무인교통단속장비와 신호등 설치가 어려운 곳에는 과속방지턱 등 안전시설을 확충하기로 했다. 학교 담당 일부를 안쪽으로 이동해 보도를 설치하는 안전한 어린이 통학로 조성사업도 추진한다.
또 노란신호등처럼 운전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시설을 새롭게 반영하고, 과속방지턱 등 기존 안전시설 규격을 보완하는 등 스쿨존 정비 표준모델도 개선할 계획이다.
운전자의 안전의무도 강화한다. 스쿨존 내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서 모든 차량이 의무적으로 일시정지하도록 하고, 주·정차 위반 차량에 대한 범칙금과 과태료도 일반도로의 2배에서 3배로 상향하는 법 개정도 추진한다. 현행 8만원에서 12만원으로 오르는 셈이다.
불법 노상주차장도 폐지한다. 학교와 유치원 주출입문과 직접 연결된 도로에 설치된 불법 노상주차장 281곳이 대상이다. 주민이 이를 직접 신고할 수 있도록 안전신문고를 활용한 불법 주·정차 주민신고 대상에 스쿨존을 포함한다. 현행은 소화전, 교차로, 버스정류장, 횡단보도 등 인근에 설치한 불법 노상주차장만 신고대상이었다.
어린이 등·하교 교통안전 계도활동도 확대한다. 노인 일자리 사업을 활용해 2022년까지 전국 초등학교에서 계도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운전자 내비게이션 안내음성과 표출화면을 어린이 음성으로 안내하고 가중처벌 등 관련 법규를 해설하는 식으로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줄 수 있는 개선도 진행한다.
올해 상반기엔 스쿨존 안전시설 전수 실태조사도 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하반기 안전시설 개선 중장기 계획을 마련하고, 보호구역 정보시스템을 구축해 일반 국민이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통학버스 신고의무 대상은 기존 6종에서 18종으로 늘린다. 또 매년 상·하반기에 모든 교육시설을 대상으로 정부부처 합동점검을 실시해 통학버스 운영자들이 스스로 안전관리를 강화할 수 있도록 독려하기로 했다.
진영 행안부 장관은 “스쿨존 내 어린이 사망사고가 더는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가 할 수 있는 일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며 “국민도 스쿨존에서 운전할 때 각별히 주의해주길 당부한다”고 말했다.
국내 스쿨존 내 어린이 교통사고는 2018년 기준 435건이다. 이 가운데 사망자 수는 3명이다. 사고는 주로 횡단 중(56.3%)에 발생했다. 교통사고 발생원인은 보행자의 보호의무 위반이 33.6%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31.6%), 기타 운전자 법규위반(18.2%), 과속(0.9%) 등 유형별 운전자의 과실로 인한 사고를 합하면 50.7%로 사고원인의 절반에 달했다.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Previous Post

경기도교육청, 10일~21일 2020 경기꿈의학교 공모 - 경기마을교육공동체 홈페이지에서 접수

Next Post

이재정 교육감, “유치원 3법 통과 환영. 유아교육 발전 계기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