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Follow Us
Follow Us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주간연재 2-4) 두 살에서 다섯 살 반까지 (3) : 평생을 좌우하는 0~7세 발도르프교육, 삶의 목적과 방향을 스스로 찾는 자유로운 인간으로 키우기

[연재인용 : 바바라 J. 패터슨, 파멜라 브래들리, 강도은 옮김 ‘무지개 다리 너머, 물병자리]

“나”라고말하는 단계에 바로 뒤이어서 “싫어(no)”​ 라고 말하는 단계가 뒤따른다. 심지어, 보통은 아이가 하길 원하는 일도 당신이 하라고 하면 “싫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이 “싫어”라는 말에 어른인 우리가 어떻게 응대할 것인가 이다. 만약 우리가 당황하거나 아이와 똑같이 부정적으로 반응한다면, 세 살짜리 아이도 똑같이 따라할 것이다. 그러므로 손을 씻어야 할 시간이라면, 그냥 아이랑 같이 세면대에 가서 함께 손을 씻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다.

이 “싫어”란 말이 곧 지나간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우리가 신발을 신겨주려고 할 때 걸음마하는 아이는 크기가 맞는지 보려고 자기가 신어보려고 할 것이다. 이럴 때 아이가 하는 일을 방해하지 않는다면, 부모와 아이 모두 좀더 행복해질 것이다. 그렇다고 꼭 해야 할 일을 안 하고 뒤로 물러나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하지만 운율이 맞는 시구를 들려주거나, 노래를 불러 주거나 하면서 아이와 함께 그 일을 하게 되면 흔히 세 살짜리 아이의 반항의지는 기분 좋게 당신을 따라올 것이다. 아이가 “싫어”라고 말하는 이 시기 동안, 우리가 약간의 유머를 적절하게 사용한다면 이것 역시 놀라운 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대략 세 살 즈음의 나이에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보다 쉽게 표현할 수 있게 되며, 가까이 있는 사람들에게 좀더 애정을 보여주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즉 이전에는 그런 적이 없던 아이가 껴안아 달라고 우리 무릎 위를 기어오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단계 동안 아이는 말하기를 좀더 유창하게 발달시켜가는데, 어떤 일에 대해 자신이 어떻게 느끼는지를 표현하기 위해 형용사를 사용하기 시작한다. 이전에는 그저 과자를 달라고 했던 아이가 이제는 맛있는 초콜릿 과자를 달라고 하는 식이다.

언어발달의 이 단계에서 주목할 만한 다른 측면으로는, 아이가 자신이 새로 지어낸 말을 재미나게 사용한다는 사실이다. 아이는 말을 가지고 아주 창의적인 방식으로 놀이를 한다. 또 이야기 듣는 것을 정말로 좋아하고, 특히 잠자리에서 들려주는 이야기를 아주 좋아한다. 이야기에 대한 흥미가 점점 커짐에 따라 아이는 어휘를 좀 더 알아가고 언어를 좀더 많이 이해할 수 있게 된다.(계속)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Previous Post

(연재 2-2) 활기찬 생명으로 키우기 - 태어나서부터 두 살 반이 될 때까지(1) : 평생을 좌우하는 0~7세 발도르프교육 : 삶의 목적과 방향을 스스로 찾는 자유로운 인간으로 키우기

Next Post

(주간연재 2-5) 두 살에서 다섯 살 반까지 (4) : 평생을 좌우하는 0~7세 발도르프교육, 삶의 목적과 방향을 스스로 찾는 자유로운 인간으로 키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