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 교습비 변경, 신고 안 해도 벌금만 내면 된다…‘처벌 완화’<조선에듀>

-학원법 등 교육부 소관 2개 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앞으로 학원 교습비가 변경됐음에도 신고하지 않을 경우, 학원이 문을 닫는 관행이 없어진다. 기존 현행법 조항이 과도하다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른 것이다.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의 28일 제360회 국회(임시회) 본회의에서 ‘민법’ 개정에 따른 학원법 관련 조문 정비, 대학 산학협력단 무기계약직원 교직원공제회 회원자격 부여 등 2개 법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학원의 설립·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법률’을 살펴보면, 학원 설립 및 운영자는 교습비뿐만 아니라, 교습과정, 설립운영자, 학원 위치 등 변경내용을 등록하지 않을 경우 기존에는 벌금형을 선고받고, 학원 등록도 못 했었다. 그러나 이번 국회서는 이 같은 현행법 조항이 과도하다는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 문제를 이번 개정을 통해 개선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헌법재판소는 법위반 행위의 경중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학원 등록의 효력을 상실시키는 ‘학원법’ 제9조 2항이 최소침해성 원칙 및 법익 균형성 원칙에 어긋난다고 단순위헌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한국교직원공제회법도 일부개정됐다. 대학의 산학협력단이 고용한 무기계약직 직원도 공제회 회원들과 동등한 회원자격을 부여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토록 한 것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들 역시 대학의 일반 직원과 마찬가지로 대학의 업무를 광범위하게 수행하고 있다”며 “관련 근거를 마련해 복리를 증진토록 했다”고 설명했다.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Previous Post

[특별연재] 루돌프 슈타이너의 ‘정신과학에서 바라본 아동교육’(20)

Next Post

[신간도서] 4차 산업혁명시대 교육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