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초 기를 때의 올바른 물 주기 방법

화초 물주기는 ‘며칠에 한 번씩 주라’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물은, 기간과 관계없이 화분의 흙이 말랐을 때 준다. 눈으로 봤을 때 겉흙이 말라 보인다 해도 실제로는 두 가지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첫째, 겉흙도 마르고 안쪽의 흙도 말랐을 경우 – 이때 물을 주는 건 괜찮습니다.
둘째, 겉흙이 말라 보여도 안쪽의 흙은 젖어있을 경우 – 이때 물을 주면 안됩니다.
뿌리가 계속 젖어있게 되면 물러서 썩어버리니까요. 그럼 화초는 시들거리다가 죽습니다.이보다 더 확실한 방법은 ‘손으로 흙을 만져 보라’는 것.
손으로 직접 만지지 않아도,나무젓가락을 사용하면 된다.
즉, ‘화분의 겉흙과 안쪽 흙이 말랐을 때 한 번에 흠뻑 주라.’는 것이다.

화분에 물을 줄 때는 화분 아랫부분의 물구멍으로 물이 조금 흘러나올 때까지 천천히, 흠뻑 흘려준다. 구멍이 여러 개 있는 물뿌리개로 물을 주면 화분의 흙이 패이지 않고 골고루 물이 잘 스며든다. 하지만 물이 화분 밖으로 줄줄 흘러나오도록 많이 주면, 흙 속의 영양분이 물과 함께 빠져나오게 되니까 조심해야 한다.
적은 양의 물을 찔끔찔끔 주게 되면 화분의 겉흙만 젖을 뿐, 안쪽 흙은 마른 상태이기 때문에 뿌리에 수분 공급이 되질 않는다.

[그 밖에 물주기에 조심할 점]

1. 식물의 잎이 말랐다고 해서 무조건 물을 주면 안된다.식물의 잎이 마르는 이유는 물을 주지 않아서가 원인이 될 수도 있지만 오히려 그와는 반대로 물을 너무 자주 줘서 흙이 항상 젖어있어도 그런 증상이 나타난다.식물의 잎이 기운 없이 쳐져있거나 말랐다면 물부터 줄게 아니라 일단 흙부터 살펴보아야 한다. 꼭! 흙이 말랐을 때 물을 주어냐 한다.

2. 화분의 흙 위에 이끼나 여러 가지 색깔의 장식돌 등이 있는 경우화초 키우기의 고수가 아니라면 다 걷어내는 것이 좋다. 물주기를 제대로 하기위해 흙을 체크하려면 방해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장식돌을 그냥 놔두고 흙을 체크할 방법이 없냐고 묻는다면 나무젓가락을 이용하는 방법을 권한다.

3. 여름철 물주기는 이른 아침이나 늦은 저녁 때. 한 낮에 물을 주면 화분 속의 온도가 더 높아져서 뿌리가 힘든다. 이른 아침이나 늦은 저녁 때 물을 주면 낮 시간 동안 높이 올라가는 온도에 서서히 적응할 수 있는 힘이 생긴다.

4. 겨울철 물주기 : 여름과 반대. 해가 있을 동안에 준다. 아침 10시에서 오후 2시 사이가 좋다. 실내에 있는 화분이라고 해도 추운 베란다에 두었을 경우, 새벽이나 밤에 물을 주면 기온이 내려가서 가느다란 뿌리들이 상하거나 심지어는 얼어버리는 수가 있다. 또, 금방 받은 수돗물을 주지 않는 게 좋다. 가장 좋은 물의 온도는 실온과 같은 물이다. 미리 받아놓은 물이나 미지근한 물을 섞어 찬 기운을 없앤 물을 주어야 한다.

5. 다육식물과 선인장의 물주기 : 일반 관엽식물의 물주기와는 많이 다르다. 이 식물들은 겉흙이 말랐을 때 물을 주는 게 아니라, 화분 전체의 흙이 완전히 말랐을 때 물을 주어야 한다. 특히 공중습도가 높아 수분의 증발량이 낮은 장마철엔 물주기를 정말 조심해야 한다. 자칫 물을 잘못주면 뿌리와 줄기 아랫부분이 물컹거리면서 썩어버린다.화분 안쪽의 흙이 완전히 말랐는지를 체크할 수 있는 방법은 위의 ‘나무젓가락’을 사용한 방법이다. 화분의 밑바닥에까지 닿을 만큼 나무젓가락을 깊이 찔러보면 된다. 그래도 자신이 없다면, 다육식물과 선인장 잎에 가느다란 주름이 생기면서 쪼글거릴 때 물을 주면 된다. 그런 증상은 녀석들이 물이 먹고 싶다고 신호를 보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6. 화분의 크기에 따라 체크하는 방법소형이나 중형 정도 크기의 화분 속 흙은 위의 방법대로 하면 큰 문제는 없다. 그러나 대형 화분의 경우는 화분에 흙이 담긴 높이의 위에서 적어도 1/5정도 깊이의 흙을 만져보아야 한다. 손으로 파보기엔 어려우니까 나무젓가락을 이용한다. 나무젓가락 전체 길이의 반 이상을 흙에 찔러 넣어 보아 습기가 느껴지지 않을 때 물을 주면 된다.

7. ‘물을 좋아하는 식물’과 ‘물을 싫어하는 식물’이라는 말의 뜻일반적으로 화초에게 필요한 물이라 함은 두 가지인데, 하나는 공기 중의 습도를 말하는 ‘공중습도’이고 하나는 흙에 포함된 ‘토양습도’를 말한다. 대부분의 관엽식물은 공중습도가 높은 것을 좋아 하지만 토양습도는 식물마다 좋아하는 정도가 조금씩 다르다. 제’물을 좋아하는 식물’이란 흙이 항상 축축한 것을 좋아한다는 뜻이 아니라 건조한 상태를 잘 견디지 못하는 식물이라는 뜻이다. 트리안, 아디언텀, 네프롤레피스 등이 여기에 속하는데 이 들은 안쪽의 흙에 좀 촉촉한 느낌이 있다 하더라도 화분의 겉흙이 말랐다 싶을 때면 얼른 물을 주어야 한다.물주는 타이밍을 놓치면 잎이 마르니까 늘 자주 신경 써서 흙을 체크해야 한다. ‘물을 싫어하는 식물’이란 흙이 건조한 상태에서 오랫동안 잘 견디는 식물을 뜻한다.아이비, 바이올렛, 제라늄, 호야, 페페로미아 등이 여기에 속하는데 잎이 힘없이 쳐지지 않는 이상 화분의 흙이 모두 말랐을 때 물을 주는 게 좋다. 이들은 뿌리가 오랫동안 젖어있으면 잎이 마르면서 떨어지고 줄기나 뿌리가 물러버린다.

8. 오랫동안 분갈이를 하지 않았거나 입자가 고운 흙을 쓴 화분의 경우시간이 지나면서 흙이 딱딱하게 굳어버리는데 이 때는 화분의 물구멍으로 물이 흘러나올 때까지 물을 주어도 일부만 젖을 뿐 안쪽의 흙은 그냥 말라있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젓가락이나 포크 같이 날카로운 것을 이용해서 화분의 흙을 푹푹 찔러 부드럽게 해주면 된다.

9. 식물은 잎이 깨끗할수록 호흡도 잘하고 공기정화 능력도 뛰어나다. 물을 줄 때 가끔씩 전체적으로 샤워를 해주면 훨씬 더 예쁘고 건강해 진다.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Previous Post

학원 교습비 옥외 게시 의무화

Next Post

[발도르프 교육 특집]우리아이에게 꼭 필요한 7가지 능력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