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Follow Us
Follow Us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침묵의 기술

침묵의 기술
조제프 앙투안 투생 디누아르 지음, 성귀수 옮김 / arte(아르테) /

이 글은 어찌보면 지나치게 종교적이고 보수적이라 할 수 있지만, 지은이 조제프 앙투안 투생 디누아르는 18세기 프랑스의 세속사제이었다. 그러니 현대 민주주의 사회의 관점으로 글을 해독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오히려 말과 글이 넘치는 지금 세상에, 되돌아보고 곱씹을 대목을 헤아려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 누군가가 얼토당토않은 짓을 하거나 어리석기 짝이 없는 말을 할 때, 그것을 들어주거나 동조하는 척하면서 속으로 비웃기 위해 입을 닫는 것은 조롱형 침묵이다. 이때 상대는 자신이 칭찬과 동조를 이끌어낸다고 착각하면서 어리석은 말과 행동을 계속 이어가기 마련이다.

*나는 제대로 침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입을 닫고 말을 하지 않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만약 그것만으로 족하다면 인간과 짐승이 서로 다를 게 무엇이겠는가. 자기 입안의 혀를 다스릴 줄 아는 것, 혀를 잡아둘 때나 자유롭게 풀어줄 때를 정확히 감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 일단 침묵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되는 모든 대목에서 변치 않는 단호함을 유지하는 것.

* 지혜의 상책은 침묵하는 것, 중책은 말을 적당히, 적게 하는 것, 불필요하거나 잘못된 말이 아니더라도 말을 많이 하는 것은 하책이다.

* 침묵보다 나은 할 말이 있을 때에만 입을 연다.

* 말을 해야 할 때 입을 닫는 것은 나약하거나 생각이 모자라기 때문이고 입을 닫아야 할 때 말을 하는 것은 경솔하고도 무례하기 때문이다.

* 아는 것을 말하기보다는 모르는 것에 대해 입을 닫을 줄 아는 것이 더 큰 장점이다.

* 만약 무언가를 말하고픈 욕구에 걷잡을 수 없이 시달리고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결코 입을 열지 말아야겠다고 결심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

하지만 저자는 무조건적인 침묵만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

* 잘못된 말을 하는 태도, 말이 너무 많은 태도, 말이 별로 없는 태도…. 다 나쁜 태도이다.

* 말을 적게 하되 제대로 된 발언을 하는 것이 완벽한 태도이다.

저자는 말을 전혀 하지 말라는 게 아니라 정말 필요할 때 말을 하지 않는 것도 나쁜 태도라고 한다. 그런데, 문제는, 언제가 바로 말해야 할 그 때임을 어찌 알까. 누구나 자기는 그 말을 해야만 했던 이유가 있다 주장할 것이니 말이다.

* ‘아주 좋은 내용이라도 미주알고주알 글로 풀어내는 것은 문제다.’

* ‘학식이 풍부한 이가 대중을 위해 글을 쓴다. 이미 나와 있는 산문집을 운문집으로 고쳐낸다든지… 이런 짓을 왜 하는가? 그 자체로 탁월한 저서가 있는데…’

그리고 저자는 중요한 지적을 한다.

* 만약 모든 사람이 작가 노릇을 하게 되면 쌓이는 책들로 무엇을 할 것인가? 모든 것이 글로 표현되면 인간의 정신이 활동할 여지가 더 이상 남아 있겠는가?

말로도 글로도 표현되지 않은 인간의 깊은 영성의 세계, 그것을 남겨놓아야 할 것이다. 시나 그림을 명료한 비평으로 완벽하게 해석한 글을 읽고 싶지 않다. 궁금하지만 결코, 끝내 알지 못하는 영역이 있어야 한다. 그래서 ‘글의 침묵’도 필요하다.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Previous Post

‘2016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수행 단체 공모

Next Post

어린이집 1만여곳 '맞춤형 보육' 반발, 2일간 집단 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