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Follow Us
Follow Us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조선에듀> 윤의정의 쉽게 쓰는 자기 소개서

[윤의정의 쉽게 쓰는 자기소개서] 합격한 자기소개서를 보고 내가 쓸 수 있게 배우는 요령

 6월 모의고사를 마치고 이제는 수시에 대한 고민을 본격적으로 하는 시기다. 당연히 자기소개서도 고민이 될 수밖에 없다. 이제부터 슬슬 자기소개서 쓰기를 시작해야 할 터인데, 어떻게 시작을 해야 할까?
여러 차례 언급했었지만. 자기소개서를 잘 쓰려면 합격한 자기소개서들을 보고 배우는 것이 좋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단 합격한 자기소개서들을 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합격 자기소개서를 접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입학설명회에서 제시되기도 하고, 합격사례 등으로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을 통해 조금만 검색해봐도 좋은 자기소개서의 예시는 여기저기 있다. 얼마나 열심히 잘 검색해보는 노력에 따라 좋은 자기소개서를 많이 접하는가의 여부 역시 달라진다.
이렇게 찾아보게 될 합격한 자기소개서는 확실히 다르긴 하다. 학생의 진로와 이를 위한 노력이 매끄럽게 잘 드러난다.

그렇지만 어쨌든 그건 다른 누군가의 자기소개서다. 결국 나의 이야기는 아니다.좋은 자기소개서를 접한다고 자신의 글이 갑작스레 좋아지지는 않는다.
똑같이 따라 쓸 수도 없는 노릇이다. 글을 통해 배우고 흉내내 보라고 하는데, 마음은 따라 하고 싶어도 도대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우리는 잘 쓴 것은 무엇이 좋은지 명확히 알지는 못하지만, 못 쓴 것은 직감적으로 느낀다. 즉, 잘 쓴 포인트를 알아내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전문가도 아닌 우리는, 합격 자소서에서 잘 쓴 요소를 하나하나 골라내는 것보다 잘 쓴 글에서 닮을 점을 찾아보는 것이 좋다.
그러기 위해서 ‘키워드 뽑기’를 해보라고 한다. 이건 2가지로 이야기를 할 수 있다. 하나는 명칭들을, 하나는 서술어를 뽑아서 체크를 하자. 예를 들어보자. 동아리, 경시대회, 탐구활동 등으로 명칭으로 되어 있는 것을 체크해서 활동 이름을 우선 뽑아보자. 그러면 어떤 활동이 중심이 되는지 한 눈에 보인다. 
그 다음에 체크하는 것은 서술어이다. 실은 이 과정이 제일 도움이 된다. 서술어들을 통해 글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자신의 글을 어떻게 구성할 지에 대해 큰 힌트를 준다.‘고민이 되었습니다 → 마음을 먹었습니다 → 좌절했습니다 →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 배웠습니다’이런 맥락으로 글이 구성되어 있다면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할 지 조금씩 알 수 있을 것이다.
저렇게 스토리 라인이 보인다면 자신의 글 역시 어떻게 구성해야 할 지 보이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이야 다를 수 있지만, 글쓰기가 어려운 친구들은 이런 흐름에 바탕을 두고 조금 더 쉽게 따라 쓸 수 있다.어차피 이렇게 만들어진 글은 완성형이 아니라 첫 시작을 하는 걸음이다. 여기서부터 고쳐나가면 아무것도 없는 백지상태에서 무작정 글쓰기를 시작하는 것보다 훨씬 더 나을 것이다.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Previous Post

[발도르프 교육 특집]우리아이에게 꼭 필요한 7가지 능력 (2)

Next Post

<우리 산하 기행> 대둔산에서 발걸음이 느렸던 까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