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Follow Us
Follow Us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우리 아이에게 꼭 필요한 7가지 능력과 발도르프 교육(5)

[사회능력]

사람은 사회적으로 함께 존재하고 사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사회적 능력이 없는 개인 또는 공동체의 삶은 생각조차 할 수 없습니다. 유아들은 태어날 때부터 사회적인 존재이며 관계 속에서 배우며 적응합니다. 이러한 배움의 과정들은 가정 안에서 시작되며 교육 현장에서 계속됩니다. 그렇지만 점점 더 많은 유아들이 한 자녀 가정에서 자라며, 한 명의 부모와 생활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때문에 아이들에게 사회성을 기르는 연습의 장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유아교육 시설은 사회적 체험의 장을 위한 근본 토대를 어 많이 만들어야 합니다. 사회적 상생에서 중요한 것은 개인의 관심, 소망, 요구들이 사회 공동체를 위한 것으로 더 많이 옮겨오는 것입니다. 책임감 있는 자유를 토대로 공동체를 만드는 한편 공동체를 구성하는 개인의 관심들이 보장받으려면, 개인은 자신의 의도에 따라 능력을 스스로 발휘할 수 있어야 합니다(구성의 공간). 이 때 규칙, 약속과 신뢰감은 필수적입니다. 유아들에게는 공동체가 필요하며, 그 안에서 사회적인 생활 규칙들을 배우고 나아갈 방향을 잡을 수 있습니다.

발도르프 현장은 지향점을 가진 생활공간입니다. 그 안에서 유아들은 짜여진 하루 리듬과 주간 리듬을 알아가며, 개인 그리고 그룹(대략 놀잇감을 정리 정돈하는 일과 식탁 차림)에게 주어진 과제에도 분명한 규칙이 있음을 체험합니다. 동시에 유아들은 항상 어른의 행위를 모방하면서 방향을 설정합니다. 또한 아이들 스스로 과제를 맡음으로써 책임감이 자라납니다. – 동시에 실제 행위를 연습합니다.

방법적인 제시들 :

식탁 치우기, 또는 화분 물주기와 같은 역할을 나누어 받고 서로 돕는 일, 동화 듣기, 가족놀이, 엄마-아빠-아기 역할 놀이, 소방서, 병원, 가게 놀이, 주고받기와 나누기 배우기, 보육현장에서 부모의 참여를 경험함 – 고장난 장난감 고치기, 축제 행사 돕기, 현장 시설 수리 등에 부모가 직접 참여함, 갈등 해결하기 연습하기 – 다툰 후에 미안해 하고 용서를 구하기를 배움.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Previous Post

전국 초등생 국토사랑 글짓기대회 개최… 학교 단체·개인 신청하세요

Next Post

교육부, 졸속정책 예고된 참사-평생교육 단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