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에서 인문‧사회‧예체능계열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 기회 제공을 위한 「재학생 직무체험」 사업을 추진해 왔으나, 재정 부담 등을 이유로 대학들이 참여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그와 같은 연유로 교육부와 고용부는 대학의 재정부담을 완화하고, 보다 많은 학생들이 직무체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부 재정지원사업비(LINC, CORE) 중 현장실습 예산을 ‘재학생 직무체험’의 대학부담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 배경은 직무체험이 학습의 연장인 ‘체험형’ 사업인 점을 고려, 학습프로그램 운영 지원금을 기업에 지원해 인문‧사회‧예체능계열 학생 활용을 유도하게 된다. 앞으로는 4년제 대학 외에 전문대학도 사업대상에 포함하고, 대학 모집도 기존 공모방식에서 수시 모집‧선정 방식으로 변경한다.
더불어, 소속대학이 사업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직무체험을 못하는 등의 사각지대를 엄ㅅ애개 위해, 청년인턴제 민간위탁기관을 활용한 ‘개인형* 직무체험’을 신설하였다.
또한, 교육부는 희망하는 일반고 학생들이 적기에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기존에 3학년 학생에게만 제공되었던 직업교육을 2학년 학생에게도 확대하고, 직업교육 위탁기관을 민간위탁기관에서 우수한 시설과 인력을 보유한 전문대학으로 확대하고 있다.
교육부와 고용부는 이러한 「전문대와 연계한 일반고학생 위탁 직업교육」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이 과정을 운영하는 전문대학을 ‘직업훈련기관’으로 인증하고 고용보험기금 등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전문대학이 ‘직업교육훈련기관’으로 인증받을 수 있도록 참여를 독려하고, 고용부는 하반기에 전문대 대상 추가 인증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연내에 ‘직업훈련기관’으로 인증받을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