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8일 공개된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 검토본에는 독도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기술이 전반적으로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독도 영유권 주장을 강화한 일본 중학교 교과서의 역사 왜곡에 맞서 독도 문제를 상세히 다룬 것으로 풀이된다.
먼저 독도 관련 내용이다.
교육부는 “독도영유권을 분명히 하기 위해 우리나라뿐 아니라 일본 사료를 함께 제시해 학생들이 다양한 근거를 접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독도가 삼국시대부터 우리 역사에 편입됐다는 것을 증명하는 다양한 사료를 제시해 일본 주장의 허구성을 분명히 밝혔다”고 설명했다.
중학교의 경우 기존 검정 교과서에서 독도는 주로 소주제 단위로 서술했으나, 국정은 중단원 주제로 서술을 확대했다.
또 기존 검정교과서에서 서술되지 않았던 ‘동해’에 대해 동해 표기의 역사적인 연원을 제시해 정당성을 강조하고, 국제사회에서 동해 표기를 확산시키기 위한 정부의 노력을 함께 소개했다.
다음, 일제 강점기에 강제 동원된 위안부에 대한 기술도 강화했다.
중학교 역사2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사진을 실렸다. ‘일본군 ‘위안부’, 인권이 유린되다’라는 소주제에서는 “피해자들은 본인 의사에 반해 강제로 동원됐고, 위안소에서는 감시와 열악한 환경 속에서 지속적으로 성폭력을 당해 몸과 마음에 깊은 상처를 입었다”고 서술했다.
또한, 고등학교 한국사에서는 기존 검정교과서에서 다루지 않았던 고노 관방장관 담화(1993년), 무라야먀 총리담화(1995년) 및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노력도 담았다.
교육부는 “동원의 강제성, 인권 유린, 국제사회의 인식 등을 충실하게 서술했으며, 심층적인 학습을 위해 중학교 역사교과서에는 별도의 주제로 편성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