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내용 출처 : 바바라 J. 패터슨, 파멜라 브래들리 지음. 강도은 옮김,
평생을 좌우하는 0 ~ 7세 발도르프 교육, 무지개 다리 너머 (2007, 물병자리) |
조셉 칠튼 피어스Joseph Chilton Pearce는 자시의 책 ≪아이의 놀이 Child’s Play≫(Newsletter of the Suncoast Waldorf Association, 1993년 가을 호)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모든 아이들이 하고 싶어 하는 일은 배우는 일이다. 아이들은 자신들의 가장 멋진 배움의 도구인 놀이를 통해서 이 일을 하고자 한다.” 부모이자 선생님인 우이는 아이들이 자신의 속도대로 발달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즉 다방면에서 아이에게 학문적인 정보를 주입시키려 함으로써 아이의 발달을 방해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이다. 오늘날 아이들이 가지고 놀 것들은 점점 많아지지만 이 장난감들을 가지고 아이들이 할 수 있는 것들은 점점 더 적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만약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를 잘 이해하고서, 집에다 알맞은 놀이 공간과 장난감들을 제공해주는 지원을 해준다면, 어린 시절 동안 아이들은 잘 놀 수 있을 것이다.
발도르프 유치원과 학교에서 아이들은 놀이의 창조자이다. 아이들은 둥그렇게 함께 모이는 시간이나 이야기를 들려주는 시간 동안에 만들어진 이미지들과 자신들의 삶의 경험에서 얻은 이미지들을 가지고 놀이를 한다. 만일 자기 주위에 풍부한 이미지들이 있다면, 아이들은 만족스럽고도 적절한 놀이를 창조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나는 발도르프 유아원, 유치원, 학교 교실의 환경이 어떠한지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고 싶다. 보통은 교실의 중앙에 자연 테이블이 있는데, 이것은 계절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어서 주위를 둘러싼 자연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과 아이들이 연결되도록 해준다. 교실의 벽들은 부드러운 색, 보통은 밝은 복숭아 색으로 칠해져 있다. 창문에는 바깥에서 오는 빛이 부드럽게 퍼지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천이 걸려 있을 것이다. 벽에 걸려 있는 포스터나 그림들은 작은 크기로 되어 있어서, 아이들이 크게 방해받지 않고 자기들 놀이에 집중할 수 있게 해준다.
발도르프 유치원에 있는 장난감들은 다른 유치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들과는 많이 다르다. 좀 전에도 설명했듯이 발도르프 유치원 교실에는 조개껍질, 솔방울, 천들이 들어 있는 바구니들, 나무토막들이 있는 곳, 천연직물로 만든 단순한 인형들과 간단한 인형극에 쓰일 줄이 달린 인형들이 있는 곳이 있다. 읽고 쓰기 위한 책상 대신에 인형 가족이 살고 있는 가정생활을 위한 공간을 볼 수 있는데, 거기에는 테이블과 의자, 몇 가지 그릇들과 주방용품들, 스토브, 인형이 앉아 있는 높은 의자 등이 있다. 인형들은 아이들이 집에서 경험한 생활을 모방하면서 놀도록 자극하기 때문이다.
이 인형들은 천으로 만들어졌으며, 구체적인 부분이 최소한도로만 표현된 아주 단순한 것들이다. 아이는 자신의 상상력으로 구체적인 부분들을 마음속에서 완전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 이미지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화할 수 있다. 가령, 그날 인형 “아기”는 행복할 수도 있고, 슬플 수도, 아플 수도, 건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나뭇가지에서 자른 모양이 다양한 나무토막들, 몇 개의 나무 그루터기, 나무로 조각된 동물들과 사람들이 담겨 있는 바구니들이 있는 나무토막 쌓기 공간은 마을이나 기차나 농장을 위한 무대가 된다. 옷들이 담겨 있는 바구니, 면으로 된 망토들, 펠트로 된 왕관들은 연극적인 놀이에 필요한 소품들을 제공해 준다. 또한 줄이 연결된 단순한 인형들이 있는 인형 탁자, 무대장치를 위한 실크 천들, 조개껍질과 돌멩이들이 들어 있는 바구니는 아이들이 서로를 위해 스스로 인형극을 만들게끔 장려한다.아이들이 만드는 이 인형극들은 선생님들이 교과과정의 일부로 아이들에게 보여주거나 들려준 인형극들 혹은 아야기들을 모방한 것이다.
새로이 부모가 된 이들은 아이들이 이런 것들을 갖고 노는 법을 과연 알고 있는지를 흔히 궁굼해 한다. 그러나 아이들에게 이것들은 여전히 마법을 지니고 있는 장난감들이다. 아이들은 이 마법을 찾아내어 자기들 놀이 속으로 가져오기 위해 나름대로 연구를 해야 한다. 이렇듯 아이들의 놀이 시간은 매일 매일이 변화와 변신이 일어나는 마법의 시간이라고 볼 수 있다.예를 들어, 나무토막들이 있는 장소가 지금은 마을로 변신했지만 나중에는 똑같은 나무토막들이 전화놀이를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조개껍질들이 가게 놀이하는 주인을 위해 사용되다가 나중에는 식당 놀이를 하는 아이들을 위해 음식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놀이 시간 동안에 뭔가 문제가 발생하면, 아이들은 그것을 풀기 위해 애를 쓰게 된다. 예를 들어, 나무로 된 놀이용 받침대와 면으로 된 천들과 빨래집게로 집을 만들어 놓았는데 지붕이 무너졌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아이들은 어떻게 그것을 고칠 것인가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들을 표현할 것이다. 어떤 아이들은 원래 그 집이 안에 들어가 놀고 싶어 하는 모든 아이들에게 너무 작았으니까 더 크게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면 이 아이들은 원래 크기대로 집을 남겨두고 싶은 아이들과 의견을 조정해야만 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경험들을 통해 아이들은 나중의 삶에서 필요한 능력들을 발달시켜나갈 것이다. 아이들은 이 창조적인 놀이를 통해서 많은 기회들을 얻게 된 까닭에, 아주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 해결에 접근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환경이 아이들을 위해 풍요롭고 건강한 특성들을 지닌 환경이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이와 마찬가지로 부모들도 자기 가정에 이러한 특성들을 마련해놓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건강하고, 행복하고, 가능성 있는 어른으로 작라는 데 필요한 훌륭한 자원을 아이들에게 제공하는 셈이 된다.(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