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Follow Us
Follow Us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내년부터 어린이집 누리예산 전액 국고로 부담키로 – 교육부 발표

내년부터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 전액을 국고에서 부담할 예정이다.

5월 25일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박광온 대변인은 “교육부에서 어린이집은 전액 국고로 부담하겠다는 보고를 해왔다”고 밝혔다. 올해는 누리과정 예산의 41.2%를 중앙정부가 부담했는데 금액으로는 8600억원 수준이다.
따라서 현재 중앙정부가 부담하고 있는 누리과정의 예산 비율은 단계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누리과정 지원 금액은 오는 2020년까지 30만 원으로 인상되고, 누리과정의 절반에 달하는 어린이집 누리과정의 예산 또한 전액 국고에서 지원될 예정이다. 교육부는 또 현재 유아 1인당 22만원씩 지원하는 ‘누리과정 지원 단가’를 단계적으로 인상하는 방안도 국정기획위에 보고했다. 교육부가 이날 보고한 누리과정 예산 국가 전액 부담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지만, 1인당 22만원인 지원 단가 인상은 공약에 없던 내용이다.

교육부는 또 이날 보고에서 ▲국공립 유치원을 지금보다 2431학급 증설 ▲일부 사립 유치원을 공공형으로 전환해 1330여 학급을 늘리는 등의 방식으로 “국공립 유치원 원아 수용률을 현재 25%에서 40%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저소득층 자녀들의 국공립 유치원 우선 입학 의무화 방안도 보고됐다고 교육부 박광온 대변인은 전했다.

그러나 기획재정부는 이날 “(누리과정 전액 국가 부담은) 협의하지 않은 사안”이라고 밝혀 재원 조달 방안 등을 둘러싼 논란이 예상된다.
올해 누리과정 전체 예산은 유치원(1조8359억원)과 어린이집(2조679억원) 등 총 3조9400억원 규모다. 이 가운데 유치원 예산은 교육부가 예산에서 지원해 왔지만 어린이집 예산의 경우 지난 수년간 누가, 얼마만큼 부담할지를 놓고 해마다 교육부와 각 시도 교육감들이 갈등을 겪어 왔다. 시도 교육감들은 “보건복지부 관할인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은 국가가 부담하라”는 입장인 반면 교육부는 “전액 시도 교육청 예산(지방재정교부금)으로 충당하라”고 맞서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누리과정 예산을 둘러싼 첨예한 논쟁의 핵심 사안이었던 ‘재정 조달 방안’에 대해선 정부 내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Previous Post

(주간연재 4장) 아이들의 12가지 감각 발달시키기 : 평생을 좌우하는 0~7세 발도르프교육 ,삶의 목적과 방향을 스스로 찾는 자유로운 인간으로 키우기

Next Post

초·중·고 7명중 1명(14.3%),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 여가부, 이용습관 조사 결과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