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내적 감각은 자신의 체질을 경험할 수 있게 해주어서 좋은 기분을 느끼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알 수 있도록 해준다. 이 감각을 통해서 어떤 순간에 우리의 상태가 어떤지를 살펴볼 수 있어서 만일 통증이나 고통이 있다면 그 의미가 무엇이지를 알게 된다. 어린 아이들에게 배고픔과 목마름은 일종의 고통이다. 이 고통은 자신의 몸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아이들에게 가르쳐준다. 생명에 대한 이 감각은 아이들로 하여금 안전한 행복함이나 위험에 대한 인상들을 깨닫게 해준다.
부모들은 자주 폭력에 대한 우려를 표현하곤 하는데, 심지어는 그림 형제의 동화에 등장하는 피비린내 나는 살벌한 사건들에 대해서도 염려하곤 한다. 그래서인지 오늘날에는 이러한 장면들을 빼버리거나 부드럽게 고쳐서 편집한 동화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런 일은 일종의 진통효과와 비슷한 것으로, 아이들의 생명에 대한 감각을 빼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이 감각을 둔하게 만들 수 있다. 발도르프 유치원이나 학교에서는 전혀 편집되지 않은 원본 동화들이 유치원과 1학년 교과 과정 중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림 형제들이 모은 동화들과 같은 참된 동화 안에는, 인간 존재가 어떤 시련과 고난을 겪어내고 위업을 달성하게 되면 결국 자신이 가치 있는 존재라는 사실을 증명하는 과정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동화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악과 맞닥뜨려서 그것을 극복해 낸다. 아이들은 늑대의 탐욕과 사악한 마녀가 하는 짓이 우리 어른들이 하는 일과는 아주 다르다는 사실을 경험한다. 아이들은 이러한 특성들을 삶에 관한 좀더 원형적인 이미지로 경험할 뿐이지, 아직은 그 고난을 자기들과 직접 관계 있는 개인적인 일이라고 동일시화하지 않는다. 아이들은 동화가 결국 행복하게 끝날 것이고, 선한 의지가 악을 이기고 승리할 거라는 걸 믿고 있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아이들의 윤리적 삶에 힘을 부여해준다. 그리하여 이러한 이미지들이 씨앗 형태로 수년 동안 아이들 속에 살아 있다가, 나중에 인생의 어떤 도전에 부딪쳤을 때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힘과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동화들을 통해서 아이들은 자신 안에서 그리고 주위 세계 속에서 탐욕, 악, 질투의 본성과 보다 잘 직면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기쁨보다는 고통과 어려움을 통해서 좀더 많은 것을 배운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소스맨 박사는 고통을 느끼지 못하면 인간 존재는 절대로 발전할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고전적인 동화들 중에서 폭력적인 부분이라고 성급히 판단해서 부드럽게 고쳐버린다면, 우리는 이 윤리적인 힘을 강하게 해주는 경험을 아이들로부터 빼았는 셈이 된다. 만약 선생님들이 소위 말하는 그 무서운 부분들을 연극조로 과장되게 표현하지 않고 객관적인 태도로 들려준다면, 그 이야기들이 아이들을 무섭게 하지는 않을 것이다.
참된 동화안에는 기쁨과 슬픔이 조화롭게 포함되어 있다. 아이들은 이것을 자신의 체질 안에서 곧바로 경험한다. 원본과는 다르게 편집된 것이거나 목소리를 과장헤서 들려주지만 않는다면 동화는 아이들의 생명 감각을 자극하고 양분을 제공해 준다. 동화를 들려주는 기술은 그것을 완전하게 그리고 조용히 들려주는 것이다, 마치 정원에 있는 꽃 한 송이를 묘사하듯이 말이다.
동화에 나오는 도전들이 마지막에 잘 해결이 되면, 유치원 선생님들은 흔히 아이들의 안도하는 한숨소리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악이 물리쳐졌고, 정의가 이루어진 것에 대한 안도감이다. 이렇듯 우리는 생명에 대한 감각이 아이의 건강한 발달을 촉진시키는 방식으로 훈련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어떤 것들이 아이들의 나이에 알맞은 동화들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악이 묘사되는 방식과 이야기의 복잡성에 따라서 알맞은 동화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당신이 아이들에게 읽히고 싶거나 들려주고 싶은 특정한 동화에 대해서 질문을 하면, 발도르프 유치원 선생님들이 이 결정에 대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계속>
*다음에는 운동감각 The Senmse of Movement 가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