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 수능, 현행 동일 시행… 중3·고1 ‘안도’
– 대입정책포럼 구성, 내년 8월 교육개혁 방안 마련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김상곤)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수능 개편을 1년 유예하기로 했다고 31일 밝혔다. 수능 개편 유예에 따라, 현재 중3이 응시하게 될 2021년도 수능은 현행 수능과 동일한 체제로 유지된다. 그로 인해 적용 대상 현(現) 중3에서 중2로 돌아갔다. 교육과정은 그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해 현 중3은 교육과정과 수능 체제가 일치하지 않아 혼란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교육부는 대입 3년 예고제에 따라 2015 개정교육과정이 적용되는 현 중3이 응시할 2021 수능 개편을 2016년 3월부터 추진해왔었으며, 그 일환으로 지난 10일에 2021 수능 개편 시안(1ㆍ2안)을 발표하고 총 4차례의 권역별 공청회 등을 통해 여론 수렴을 했다. 교육부는1년 유예의 이유에 대해 “여론 수렴 과정에서 수능 개편안만 발표하기보다는 학생부종합전형을 포함한 종합적인 대입전형개편방향을 함께 발표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며 “절대평가 범위 등 수능 개편방향에 대한 교육 주체 간 이견이 크고 사회적 합의가 충분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교육부는 고교, 대학, 학부모, 정부가 참여하는 ‘(가칭)대입정책포럼’을 구성해 대입전형과 이후 수능 개편 등 새 정부의 교육개혁 방향에 대해 함께 논의할 계획이다. 이러한 논의와 중장기 대입제도 개선에 대한 정책연구를 바탕으로 고교학점제, 내신 성취평가제, 고교교육 정상화 방안 및 대입 정책 등을 포괄하는 ‘새 정부 교육개혁 방안’을 내년 8월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 (출제범위) 원칙적으로는 2018학년도 수능과 동일하도록 하되, 학생 학습량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세부 조정 /교육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