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내용 출처 : 바바라 J. 패터슨, 파멜라 브래들리 지음. 강도은 옮김,
평생을 좌우하는 0 ~ 7세 발도르프 교육, 무지개 다리 너머 (2007, 물병자리) |
그런데 실제로, 아이가 수용하기 어려운 횅동을 할 때 어떻게 간접적인 방식으로 그것을 다루어낼 수 있을까? 때리고, 물어뜯고, 할퀴고, 발로 차고, 침을 밷는 아이들을 어떻게 다룰 수 있을까? 만약 손으로 누군가를 때린 경우라면, 아이의 손을 실크 천으로 감싼 다음 손이 따뜻해질 때까지 아이를 우리 곁에 앉아 있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아이에게 “네 손이 따뜻해지고 튼튼해지면, 이 손은 더 이상 누구를 때리지 않을 거야.”라고 말해 준다. 발로 찬 경우에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한다. 친구를 물어뜯은 아이에게는 커다란 사과 한 쪽이나 당근 한쪽을 주면서, 그것을 다 먹을 때까지 선생님 곁에 앉아 있게 할 수 있다. 그러면서 ” 우리 입으로는 당근을 먹는 거지. 친구들을 물어뜯는 게 아니란다.”라고 말해준다. 누군가를 할퀸 아이에게는 치료용 바구니를 가져와서 아이의 손톱을 깨끗하게 잘라 주면서, “고양이들이나 할퀴는 거지 아이들은 그러지 않는단다.”라고 말해준다. 침을 뱉는 아이는 화장실로 데려가서 변기에 침을 뱉도록 할 수 있다.
폭력적인 방식으로 놀이를 하는 아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부모들은 종종 이런 유형의 아이와 집에서 한바탕 난리법석을 떨곤 한다. 이런 법석을 떨고 난 아이는 “자기의 폭력적인 방식에서 빠져나올”것이다. 아이들의 마음은 쉽게 비위질 수 있는 그릇 같은 것이어서 이 그릇 안에 폭력적인 놀이를 저장해 놓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아이가 실제적인 일을 하게 되면 폭력적인 놀이를 고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텃밭에서 일하기, 구멍 파기, 돌 나르기, 통나무 나르기 같은 일들을 하게 하는 것이다. 목적이 분명한 이런 일을 해나가다 보면 아이의 혼란스런 의지가 점차 조화를 이루어갈 것이다. 수영하기, 오래 걷기, 겨울에 눈으로 하는 놀이 같은 신체를 사용하는 많은 운동들 역시 도움이 된다.
* 다음에는 ‘당연한 행동’이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