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Follow Us
Follow Us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루돌프 슈타이너 강연록> 신비적 지혜에 비추어 본 예술(GA 275) <10>

정신과학이 제공하는 도구들을 통해, 중세에서 근대에 이르는 수백 년 동안 사람의 생활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그 생활을 관찰해서 영혼을 통찰할 수 있게 되면, 후기 아틀란티스 제4문화기 동안에는, 그리고 심지어 14, 15세기의 한가운데에 이르도록, 사람과 언어의 관계가 지금과는 달랐음을 알게 됩니다. 말하자면 사람들은 말할 때 정말로 저음을 냈습니다. 그런 사실을 요즘은 믿지 않습니다. 오늘날 사람들은 물리적으로만 말소리를 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 같은 말을 해도 당시에는 한 옥타브 낮은 소리로 해서 뭔가 정신적인 소리가 같이 울렸습니다.  그래서 각기 다른 언어로 달리 말하고 듣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공통된 소리를 내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말할 수 있겠습니다. 사람의 체험이 각각의 언어 안에서 이루어지는 소리의 울림으로 체험하며, 그 울림에서 말의 의미를 압니다. 이와는 달리 엤날에는 언어가 가진 전체 요소 안으로 깊이 들어가서, 언어가 다른 것과는 상관없이 동일하게 울리는 소리를 들었던 것입니다. 언어를 듣는 그런 두 가지 체험을 가르는 경계는 15, 16세기였습니다. 당시 인류는언어가 가진 창의적인 능력을 잃게 되었습니다.

15,16,17세기에 인류에게 벌어진 특이한 충격을 이해하려면, 언어에서 저음이 약화되는 그 이상한 일을 알아야 합니다. 그와 함께 인류에게서 뭔가가 사라졌으니까요. 경계에 해당하는 시기 전에는 사람의 영혼이 전쟁인지 평화인지 간에 뭔가를 체험하게 되었습니다. 어쨋든 그때는 사람의 영혼 안에는 언어의 저음이 울리고 있었습니다. 그 시기까지의 역사는 그 이후와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우리는 정신과학의 인도를 받아 오늘날과는 달랐던 중세의 말소리를 들을 수 있는 정신적인 청각을 계발해야 합니다. ㄷ당시에 사람의 영혼은 당시 사람이 들을 수 있던 것들을 완전히 달리 들었기 때문입니다.

저는 인류에게 일어난 일의 예로 십자군 원정을 들겠습니다. 중세에 일어난 십자군 원정의 모습은 언어의 그 정신적-영적 저음을 이해하지 않으면 상상조차 불가능한 것입니다. 오늘날 중유럽과 서유럽에 사는 사람들이라면 (십자군 원정을 선언한) 클레르몽 공의회의  “하느님이 원하신다.”라는 (교황의) 선언에 중세 사람들처럼 감동하지 않을 것입니다 . 그 이유는 다름 아니라 당시 사람들이 그 말에 깊이 들어가 공감했기 때문입니다. (계속)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Previous Post

국가교육회의, 2030 미래교육체제 수립·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본격화<조선에듀>

Next Post

<루돌프 슈타이너 강연록> 신비적 지혜에 비추어 본 예술(GA 27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