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Follow Us
Follow Us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기획특집] 아이를 새롭게 바라보는 교육 – 발도르프 유아교육 <2회>

 

연재 원본 : “아이를 새롭게 바라보는 교육 – 발도르프 유아교육

<마리 루이제 콤파니, 페터 랑 엮음,  이정희 외 옮김>

 

< 세계 속의 발도르프 유치원 >  – 페터 랑-

[2번 째 이야기]

-발도르프 유아교육기관의 발달-

 

20세기 초엽 루돌프 슈타이너는 아니가 일상적으로 부적절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고  그때까지 유지된 교육 전통이 점진적으로 사라져가는 것을 알아차렸다. 따라서 슈타이너는 발도르프 교육이 입학 이전에 실천되기를 소망했고 이를 중요하게 여겼다. 슈타이너는 이러한 생각을  발도르프 학교의 설립과 관련한 두 가지 발언에서 드러냈다.  “우리는 지금까지 근본적으로 초등학교 입학이라는 과정으로만 아이들을 받아들이고 있다. (따라서) 모방의 나이가 지나고 나서야 우리는 교육을 시작한다.”  “슈투트가르트의 발도르프 학교가 중부 유럽에서 학령기에 도달해서야  비로소 아이들을 받아들이는데, 나는 이 점을 항상 아주 특별히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

슈타이너가 사망한 이후인 1926년 슈투트가르트의 첫 번째 학교와 관련되어 있던 엘리자베트 폰 그루넬리우스Elisabeth von Grunelius가 발도르프 유치원을 설립했고 그 후 몇 개의 유치원이 다른 도시들에도 이어졌다. 그러나 발도르프 유아교육운동의 지속적 성장은  1933년 이후 발도르프 유치원 및 학교에 대한 금지령, 나치주의자들과 제2차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방해받았다. 종전 이후 하노버에서 발도르프 교육학자인 클라라 하터만Klara Hattermann이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간학을 토대로 유치원과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방법론을 개발했고, 발도르프 유아교사와 학교교사와 의사들을 위한 모임을 만들었다. 그때부터 발도르프 유아교육의 현장이 증가했다.

1950년대 말에서1960년대 초까지 세계의 많은 나라에서 영유아기의 보호공간에 대해 강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것은 우선 훨씬 더 이전의 발전과 관련되어 있다. 1957년 인류 최초로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을 거둔 소련의 기술적 업적은 서방 세계의 군사  경제 영역에만 충격을 준 것이 아니라(‘스푸트니크 쇼크’), 취학 전 유아의 교육과 보육에도 영향을 미 쳤다.  즉, 서방국가들은 한편으로는 엄청난 군사적, 졍제적 노력을 통해 소련을 능가하려고 시도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점차 편중된 교육정책을 개발했다. 이것은 취학 전 영역에서 유아들의 인지적 발달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계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의 학교화와 입학 연령의 앞당김이 이시기 교육정책의 목표가 되었다. 그 결과 1960년대 서방 세계의 여러 나라에서 유치원들이 혼합연령제도를 폐지하고 학습 프로그램들을 도입했다.(예를 들어  유아교육기관에서 쓰기, 읽기, 셈하기를 훈련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부모와 대학생의 이니셔티브가  활발하게 나타나면서 다양한 반대 운동들도 시작되었다.  그즈음 유아 전문점이 생겨났고 대학가에서는 대학생들이 경직된 권위주의적 구조의 타파를 시도하면서 사회, 정치적 강제성을 벗어던지는 인간 해방의 개념이 1968년부터 보편타당한 교육의 목표와 발달의 목표로 성장해 나갔다.

이러한 전체적인 교육풍토의 집중적인 변화 단계에서 발도르프 교육학계의 몇몇 인물들이 이니셔티브를 잡았다. 발도르프 학교 설립이 붐을 이루었고, 학부모와 교사들은 특별한 방법으로 참여했다. 동시에 영유아의 발달이나 교육과 성장이 근본적으로 새롭게 시작되어야 하는 이유가 명백해졌다. 이에 따라 발도르프 유아교사로서 많은 체험을 쌓은 클라라 하터만은 하노버에서, 프레야 야프케Freya Jaffke는 남부의 로이틀링엔에서, 그리고 발도르프 학교 교사였던 헬무트 폰 퀴겔겐Helmut von Küglgen은 슈투트가르트에서 발도르프 유치원에 발도르프 교육학을 통해 영감을 불어넣으며 질적으로 확장했고 동료들의 범위를 꾸준히 넓혀가면서 그 과제를 다양한 형태로 풀어나갔다.

어머니를 위한 프로그램이 시행되었고, 유아교사를 위한 발도르프 재교육 과정이 제공되었으며, 1970년대 중반 이후 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발도르프 유아교육사범대학이 설립되었다. 동시에 발도르프 유아교육기관의 설립자들은 영유아기 아동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교육으로 인한 위험은 전 세계의 문제라고 확신했기 때문에 처음부터 발도르프 유아교육의 국제적 네트워크 형성에 노력했다.

그결과 1969년 10월 19일 ‘국제발도르프유치원연합Internationalen Vereinigung der Waldorfkindergärten(IVW)’가 발족했다. 국제발도르프학교연합과 그 교사진의 수년간에 걸친 집중적인 협력은 이 단체의 발족에 큰 도움을 주었다. 당시 그곳에 있었던 사람들의 몇몇 보고에 따르면, 비록 작은 사무실이었지만 모든 구성원이 편안하게 자리 잡고 적극적으로 교육 토론회를 벌였으며, 교육자 대회를 개최하고 독일과 다른 나라의 발도르프 유치원 설립을 도와주며 국제관계를 만들어나갔다고 한다.

1990년부터 ‘철의 장막’이라 불리던 소련과 동구권 나라의 대부분에서 발도르프 유아교육기관 설립의 물결이 계속되었다. 21세기 초 현재, 세계 50개국에 그리고 아주 다른 문화권에 약 1,600개에 달하는 발도르프 유아교육기관이 있다. 이처럼 발도르프 교육의 이상은 끊임없이 세계로 퍼져나가고 있다. 몇 년 전부터는 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발도르프 교육학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계속되면서 그곳에서도 발도르프 유아교육기관, 학교, 그리고 교육 세미나들이 생겨났다. 현재 독일에서 루돌프 슈타이너의 교육 이념에 따라 운영되는 유아교육기관은 550개에 달한다. 또한 반일제뿐만 아니라 발도르프 교육학을 토대로 제공하는 0~3세를 위한 영아반 설치가 성장하는 추세이다.<계속>

Keep Up to Date with the Most Important News

By pressing the Subscribe button, you confirm that you have read and are agreeing to our Privacy Policy and Terms of Use
Previous Post

[조선에듀 초등 아고라] 교내 휴대전화 사용 규제

Next Post

[기획특집] 아이를 새롭게 바라보는 교육 - 발도르프 유아교육 <3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