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2021년 청년정책 시행계획 소관과제…5조원 투입
-저소득층 장학금 지원 확대
-고졸 취업 강화
- 교육부는 지난달 30일 제3차 청년·정책조정위원회에서 심의·의결된 ‘2021년 청년정책 시행계획’에 따른 교육부 소관 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이번 계획에는 청년정책 5대 분야인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에 걸친 교육부 소관 37개 과제가 포함됐다. 예산은 총 5조원이 투입된다.
우선 교육부는 내년에 대학 입학금을 완전히 폐지하기로 했다. 대학생들의 학자금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대학 입학금을 단계적으로 감축해왔으며, 국립대는 2018년부터 입학금을 전면 폐지했다.
아울러 저소득층 국가장학금 지원 한도는 520만원에서 내년 700만원으로 인상된다. 학자금 대출금리 인하 기조도 유지해 올해 1학기 금리를 작년 2학기보다 0.15% 인하한 연 1.7%로 정했다.
기숙사 공급도 늘어날 전망이다. 교육부는 대학생 기숙사 수용인원을 올해부터 2025년까지 해마다 6000명씩 확충하기로 했다. 대학생들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기숙사비 현금 분할납부도 현행 33%에서 36%로 상향 조정할 계획이다. 카드납부 비율도 21%에서 24%로 확대된다.
고졸 취업에 대한 지원도 강화된다. 고졸 현장실습 선도기업은 2025년까지 3만개를 발굴하고, 지난해 학교 현장에 517명이 배치됐던 취업지원관 수를 700명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고졸 청년의 후학습 장학금 지원 대상을 지난해 7000명에서 올해 9000명으로 확대한다. 고교 취업연계 장려금은 현행 400만원에서 올해 500만원으로 늘어난다. 직업계고 현장 실습생에게는 월평균 60만원의 수당도 지급한다.
이밖에 정부는 신입생 정신건강 검사, 대학 내 인권센터 확충 등 대학생의 복지지원과 권리보호에도 나설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청년의 삶 변화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정책 효과성을 높일 것”이라며 “특히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의 진로·취업과 복지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